홈
l
기사제보
l
로그인
l
회원가입
l
관리자
l
기사작성
l
공지사항
|
Q&A
2019년 12월 08일 일요일
최신기사
풍경사진분과위원회 회원전 개최
서울 종로구 인사동에 있는 인사아트플라자갤러리 ..
다양성이 공존한 평화의 나라 가야국
서울시 용산구 서빙고동 국립중앙박물관 기획전시..
삶의 따뜻함을 몸으로 마음으로 실천한다
올해 발간된 요양보호사들의 문집에는 돌봄 현장과..
2019년 적십자봉사회 봉사원 어울림 한마당
안동시 경동로 안동초등학교 대강당에서는 대한적..
감정은 노동자의 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우리나라도 최근 10여 년간 약 750만 명으로 추산..
2019 어르신 축제 꺼지지 않는 불꽃
깊은 산 속 옹달샘은 웰니스 관광지
2019 찾아가는 전통성년례
보람찬 노후 숲 체험 교육 봉사
출퇴근 시민 교통지옥 언제까지
나이 먹는 것 두렵지 않아요
미국 동부와 캐나다로 떠난 겨울 여행(2)
안동, 2019 서구동 주민자치센터 프로그램 발표회
동작동 현충원 1,649일째 참배하는 실버
폐암 등 큰 수술 이겨낸 제주 출신 억척
문화예술관
SNN 커뮤니티
8090 추억 여행 콘서트/ 이재중
행복의 길을 찾아서/구양근
바람의 건축가, 시간의 집을 선물하다. 이재중
우덕상 동시인 ‘족집게 선생님“ 동시집 발간
오하영 아동문학가 “상당산성”동화집 발간
소녀들은 왜 범죄자가 되었을까/ 이재중
경남아동문학 통합 호 발간/ 오하영
소년문학 11월호 발간/오하영
남자? 더러‘개새끼’일 수 있다/이원우
(계간) 공무원 문학 / 김완용 회장
우리나라의 살기 좋은 도시.........!!!
활짝핀 선인장꽃
사방 이웃으로 인한 생활방해와피해 사례
아름다운 사람.........!!!
불효자는 웁니다
아름다운 조각
즐거움을 만드는 나날.........!!!
세월 가면 언젠가는.......!!!
땀이 없으면.......!!!
감사한 일..........!!!
뉴스홈
> 생활 한자 총 기사 건수 : 424 건
南山可移(남산가이)
[19-11-05 17:07]
남산은 옮길 수 있을지언정 이미 결정한 것은 절대로 고칠 수 없다는 말이다. 한번 먹은 결심은 절대로 굽히지 않겠다는 굳은 의지를 나타낼 때 쓰는 말이다.
靑雲之志(청운지지)
[19-09-28 22:31]
학덕을 닦아 성현의 자리에 이르려는 높은 뜻과 입신 출세하려는 큰 뜻을 품은 사람, 공명을 세우고자 하는 큰 포부를 품고 이를 이루어 나가겠다는 사람의 의지를 비유한 말이다. 또한 고결하고 세상 밖에 초연한 지조를 가진 은자(隱者)를 뜻하기도 한다.
樂山樂水(요산요수)
[19-08-07 14:33]
산을 좋아하고 물을 좋아한다. 즉 산수를 좋아하고 즐긴다는 뜻이다. 원문은 「슬기로운 사람은 물을 좋아하고 어진 사람은 산을 좋아한다. 知者樂水(지자요수) 仁者樂山(인자요산)」로 되어 있는데 요산요수(樂山樂水)로 쓰고 있다.
夏爐冬扇(하로동선)
[19-06-13 22:02]
綠葉成陰(녹엽성음)
[19-05-17 00:41]
寸草春暉(촌초춘휘)
[19-03-14 16:44]
夏爐冬扇(하로동선)
[19-06-13 22:02]
여름날의 화로와 겨울날의 부채라는 뜻이며, 필요할 때는 환영을 받다가 불필요할 때는 천대받는 물건이나 경우를 비유하여 쓰는 말이다. 비슷한 성어로 무용지물(無用之物)이라는 말도 있다. 또 하는 일이나 말이 적절하지 않은 것을 말하기도 한다.
綠葉成陰(녹엽성음)
[19-05-17 00:41]
푸른 잎이 무성하게 피어 그늘이 짙게 드리운다. 혼인한 여자가 슬하에 많은 자녀를 둔 것을 비유하여 이르는 성어이다.
寸草春暉(촌초춘휘)
[19-03-14 16:44]
촌초(寸秒)는 봄풀을 뜻하고 자식의 효심을 비유하며, 춘휘(春暉)는 봄볕을 뜻하고 부모의 은혜를 비유한다. 즉 작은 풀이 봄의 따스한 햇볕에 무럭무럭 자란 은공을 갚을 수 없듯이 우리 인간도 길러준 부모의 은공을 보답하기 어려운 바를 비유한 성어이다.
負重致遠(부중치원)
[19-01-15 15:47]
무거운 짐을 지고 먼 곳을 향하여 떠나간다는 뜻으로, 중요한 직책을 맡은 것을 말한다. 또한 중요한 직책을 맡을 수 있는 역량이 있음을 비유하여 사용하는 말이다. 같은 뜻으로 ‘부중섭원(負重涉遠)’이라고도 한다.
問鼎輕重(문정경중)
[18-12-17 00:46]
원래는 왕위(王位)를 노리는 야심이 있다는 것을 의미했다. 즉 황제의 상징물인 구정(九鼎)의 무게를 묻는다는 뜻으로, 남을 얕보는 것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이다. 지금은 ① 상대방의 실력이나 내부사정을 잘 알고 그의 약점을 이용한다는 뜻. ② 권위나 가치 있는 것이 절대성을 상실했을 때 흔히 사용하는 말이다. (정(鼎)은 발이 셋이고 귀가 둘 달린 솥임)
和氏之壁(화씨지벽)
[18-11-25 17:41]
천하 명옥의 이름이며, ① 한 점의 티도 없는 훌륭한 상태라는 뜻으로 사기(史記)에 나오는 고사(故事)의 참뜻이며 ② 훌륭한 것을 그대로 되찾는다. 완벽(完璧)하다 등의 뜻으로서 학생참고서로서 「완벽(完璧) 국사(國史)」 등의 뜻으로 쓰인다.
前車覆轍(전차복철)
[18-10-16 20:29]
앞서가던 수레가 뒤집힌 것을 보았다면, 뒤차는 앞차가 지나간 자국을 지나가지 말라는 뜻으로서, 다른 사람의 실패에 비추어 스스로 조심하여 같은 실패를 하지 말라는 교훈의 말로 사용한다.
이전 페이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다음 페이지
실버넷뉴스 소개
|
조직도
|
회원가입
|
사이트맵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용약관
|
이메일 무단수집거부
|
청소년보호정책
실버넷뉴스: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중앙로8길 111 우명빌딩 5층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서울아02056
대표전화: 02-3474-2496 ㅣ fax번호: 02-516-1825ㅣ 대표자명: 정태명 ㅣ 이메일:
snnwith@gmail.com
Copyright ⓒ 2018
실버넷뉴스
All rights reserved.